청년포럼: 호명되는 청년에서 선언하는 시민으로

1,400만의 2030인구. ‘청년’이라 불리는 우리의 삶은 얼마나 같을까요?

“우리가 ‘청년’이라 스스로 칭할 때나 대상으로 호명받을 때 모두

청년의 ‘다양성’이나 ‘이질성’에 대해 얘기하기 보다,

‘동질성’을 더 과장하며 집합체로서 청년의 특성을 논하고 있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청년’으로 호명 할 때는 ‘미완성, 미성숙, 보호의 대상’으로,

당사자로서 발화할 때는 ‘미래의 열쇠, 변화의 동력’등으로 이중적 신분을 가지게 됩니다.

우리는 청년이라는 ‘신화’와 청년의 ‘불쌍함’ 사이에 있는 다양한 각자의 삶을 주목하고 공유해야 합니다.

나아가서 어떤 한 세대가 아니라 시민으로서,

실천가로서 본인이 목도한 현장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선언과 요구를 해야합니다.

그래야 이 신기루 같은 사회현상의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청년이  ‘2등 시민’이 아닌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나눠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10월 14일 토요일 성북구 한성대입구역 근처 마을술집 ‘칠번출구’에서

<청년생태계포럼 : 호명되는 청년에서, 선언하는 시민으로>의 자리가 있었습니다.

11명 발제자들의 자료를 공유합니다.



1.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 청년은 얼마나 다양한가

2. 성북청년회/협동조합 성북신나 - 시민으로 선언하기 : 현장의 이야기

3. 극단 99도 - 청춘은 충분히 뜨겁다

4. 잼있는인생 - 잼있는인생이야기, 재미의 가치

5. 청년연대은행 토닥 - 청년금융, 사회안전망

6. 7번출구 - 내가 동네에서 본 사건과 연대와 민주주의

7. 전원배 - 맥주, 춤, 씩씩함

8. 류민수 - 사회운동 현장에서 본 청년세대 지속가능성

9. 지구를위한디자인 - 나는 무엇으로 사는가, 그린디자이너

10. 주세훈 - 동네에서 정치하기

11. 사이LAB - 갭이어가 뭐죠?





동조합 성북신나

Tel.  070-5104-1402   Mail.  info@sinna.us   Addr.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19길 10  

이 홈페이지는 한전KDN과 함께 일하는 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