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청년회


2014년 7월 협동조합 성북신나는 서울시 청년허브의 ‘청년활성화사업’에 ‘성북청년회’라는 사업을 지원했었습니다.

명함만 주고받는 네트워크에서 그치지 않고,  사람, 기술, 자원, 일거리를 공유하며 함께 잘 먹고 잘 사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성북청년회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연락하고, 만나고, 홍보하며 함께하게 된 보석같은 팀들이 있었는데요! 지난 3개월동안 두꺼비집 프로젝트, 비디사이씨, 우리아라, 정릉코뮤니티가 함께 한 성북청년회의 활동을 알려드립니다~


1. “빈집을 창조 공간으로”, 두꺼비집 프로젝트

방과후, 지역아동센터의 아이들을 교육하는 청년 선생님들의 모임을 시작으로 발전한 두꺼비집 프로젝트. 손수 정릉 3동의 빈집을 수리하여, 그  공간을 거점으로 교육뿐만아니라 팔찌 등의 아이들과 함께 만든 물품들을 장터에 나가 판매하는 등, 다양을 활동을 해왔습니다.

 

2. “예술과 일상의 사이잇기”, 비디사이씨

“Life is Choice between Death and Birth” 성신여대 서양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여학생들이 자신들의 작품을 가지고 직접 전시를 기획하고 판매하고자 모인 팀입니다. 카페에서 전시, 마켓에 참가하여 작품판매, 예술활동을 통한 워크숍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답니다.

 

3. “도시와 농촌의 상생 근육키우기 프로젝트”, 우리아라

도농교류에 관심있는 사람들과 함께 농활체험을 틈틈히 해 온 우리아라. 농활체험에서 얻은 박하차나 사진으로 만든 엽서 등, 수확물을 개울장에 참가하여 판매하였는데요, 완판이라는 어마무시한 기록을! 구매자들에게 농활체험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와 연결시켜주는 것은 덤!

 

4. “정릉의 소식통”, 정릉코뮤니티

정릉에서 자취하는 사람들이 모여 혼자사기 부담스러운 과일등을 함께 사서 나눠먹는 “너/n”프로젝트, 정릉사람들도 모르는 정릉의 소식 및 정보를 구석구석, 속속들이 파헤쳐 SNS를 통해 공유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는 정릉코뮤니티입니다.

 

-

성북청년회는 각 팀별 활동도 열심히 해왔지만, 다함께 하는 활동도 놓치지 않았는데요!

1. 오픈파티

어색함을 줄이기 위해 몸도 움직여보고, 1대1로 이야기도 나눠보고, 함께 하는 팀이 어떤 팀인지에 대해 발표도 하는 성북청년회의 시작점!


2. 대표자 모임

각 팀들의 대표자들은 1-2주에 한 번씩 모여 각 팀의 활동도 공유하고, 공통의 업무인 성북청년회 컨퍼런스를 어떻게 개최할 것인가 의논해왔습니다. 자주 본 만큼 부쩍 가까워져, 오히려 회의가 즐거운 시간이었답니다!

 

3. 전체 반상회

대표자뿐만 아니라 전체 팀원이 함께 모여 활동과 컨퍼런스에 대해 나누는 자리, 전체 반상회 시간도 가졌는데요. 이 날 함께 교류하며 진행했던 ‘캔들 만들기’는 모두가 만족했던 신의 한 수!

 

4. 성북청년회 맺음파티

3개월동안의 활동을 잘 정리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내년을 위해 성북청년회가 가진 네트워크를 더 크게 확장하고자 맺음파티를 열었습니다. 팀 관계자뿐만 아니라, 문화연대, 좋은공연제작소, 정릉신시장사업단, 성북문화재단 등 많은 문화예술 단체에서 참석해주셨어요. 덕분에 더욱 즐거운 맺음파티가 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5. 일거리를 공유하다, 정릉마을학교

▲비디사이씨가 진행 한 ‘재미 워크숍’


성북청년회와는 별개로, 두꺼비집 프로젝트에서 맡게 된 ‘정릉마을학교’ 사업을 성북청년회와 나누어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일거리를 공유하는 모습에 뿌듯뿌듯!

내년에는 더 많은 청년 팀들을 찾고 만나 활동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부탁드려요!

동조합 성북신나

Tel.  070-5104-1402   Mail.  info@sinna.us   Addr.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19길 10  

이 홈페이지는 한전KDN과 함께 일하는 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