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협동조합 성북신나는 성북이 아닌 새로운 지역을 경험하고 왔습니다. 바로 성동구 성수 지역으로, 성수동을 근거로 활동하고 있는 건축회사 ‘어반소사이어티(URBAN SOCIETY)’가 진행하는 ‘서울시 사회적경제센터의 혁신형사업’에 함께 하였습니다.

성수 지역 중에서도 성덕정길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였는데요, 성덕정길 인근은 조선시대의 마을에서 근대를 지나 현재에 이르는 오랜 역사를 품고 있는 길이예요. 오래된 보호수들을 중심으로 주거와 공업이 조화를 이루며 도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며 변화의 흐름이 잠시 멈춰있는 지역으로, 정비되기 전 조금의 변화를 통해 삶의 윤택함이 필요한 지역입니다. 그래서 어반소사이어티는 ‘2015년 혁신형사업’을 통해 성덕정길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고 작게 작게 변화시킬 수 있는 지점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협동조합 성북신나는 설문조사를 통한 주민들의 생각 및 요구파악, 그리고 주민과 함께하는 크라우드매핑 워크숍으로 성덕정길에 대한 자원 기록 및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데 함께 했습니다.


워크숍은 총 3기수를 진행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기는 워크숍 장소 사정으로 취소되었으며, 2기와 3기 그리고 추가 기수로 총 3기수 진행)


회차

워크숍

내용

1회차

관계맺기

  • ‘잘해봅시다’, ‘마시멜로챌린지’와 같이 몸을 움직이는 활동적인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 원활한 워크숍 진행을 위해 어색함을 풀고, 참여자들 간의 친밀함을 끌어올립니다.

크라우드매핑 이론과 사례

  • 워크숍의 중심인 ‘크라우드 매핑’의 개념을 알아봅니다.

  • 국내외 사례를 통해 ‘크라우드 매핑이 어떻게 실생활에 적용되는지’ 알아봅니다.

불만워크숍을 통한 팀빌딩

  • 우리동네의 불만점을 토로하며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의제를 찾아봅니다.

  • 의제 별로 팀을 나누어 활동합니다.

2회차

썸맵 사용법

  • 매핑을 위해 크라우드매핑 웹 서비스 ‘썸맵’ 사용법 익힙니다.

현장 조사

  • 현장에 나가 의제에 부합하는 장소를 매핑합니다.

  • 매핑하며 개선 방안을 상상하고 메모합니다.

3회차

공간상상놀이워크숍

  • 메모한 개선 방안 아이디어를 보다 구체화 시켜, 블럭을 가지고 공간을 꾸며봅니다.

  • 팀 별 결과를 공유하고 토론합니다.


#그린트러스트 및 성인 참여자와 함께한 2기

2기는 성수동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단체 ‘그린트러스트’와 크라우드매핑에 관심이 있는 성인 참여자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린트러스트 : 시민참여를 통한 생활권 녹지증대, 도시의 생태복원 그리고 녹색공동체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단체입니다.)


‘잘해봅시다’로 몸풀기!

 

‘우리동네에 어떤 자원들이 있었는가’를 떠올려보며 지도에 표시하기

 

불만워크숍을 통해 동네에 필요한 의제 발굴하기


워크숍을 통해 나온 의제들은 5가지로,

교통 : 차가 많이 다니는데 인도가 따로 없어 위험

생활 : 즐길거리가 많지 않은 생활 조건

환경 : 성수동 내 공장에서 나오는 폐자재 및 노후화 된 건물들

정보 : 성수동 내 축제 및 프로그램 정보 고유 미흡

이슈 : 성수동 집 값 상승

이 중 ‘교통’과 ‘생활’ 의제를 우선순위로 뽑아 팀별로 나뉘어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둘째 날, 썸맵 사용방법에 대해 배우고 간단한 실습을 해본 후, 현장 조사를 나가 팀 별 주제에 맞는 장소들을 매핑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썸맵 사용법 익히기

현장조사, 각 팀 별 주제에 맞는 장소 정보 수집하기

수집한 정보는 바로 썸맵에 업로드하기


마지막 날에는 조사한 내용을 공유하고, 그를 바탕으로 대안을 상상하고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팀별 활동 내용 공유하기


#도깨비공부방 친구들과 함께한 3기

3기는 도깨비공부방 친구들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불만워크숍보다는 동네에서 하고 싶은 것을 찾고, 그를 바탕으로 지도를 만들어보는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첫째 날, <마을자원지도그리기>를 통해 우리동네에 어떤 곳들이 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동네 자원을 표시하며, 우리동네를 다시 돌아보기

표시한 자원을 토대로 우리동네에 생겼으면 하는 것들에 대해 자유롭게 상상하기


 

둘째날에는 직접 동네를 돌아다니며 조사하고,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동네가 어떤 재미난 동네가 될 수 있을지 상상하며 우리만의 동네지도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여기저기 골목 틈새도 잘 돌아다니는 친구들

우리만의 동네지도를 만들기 위해, 동네에서 새롭게 발견한 곳들을 지도에 표시하기

썸맵에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사진으로도 기록 남겨두기


그렇게 만들어진 다양한 주제의 동네 지도들!

지도로 표현했던 동네를 실제로 만들어본다면 어떤 모습일까? 마지막 날, 블록을 가지고 동네를 만들어보았습니다.

블록으로 다양한 건물과 시설들을 만들고 있는 친구들



포스트잇에 어떤 건물, 어떤 공간, 어떤 시설인지 설명을 써 붙이기

3기로 함께한 도깨비공부방 친구들


#한양대 건축공학과 학생들과 함께한 추가기수

추가기수는 한양대 건축공학과 학생들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2기에서 발굴되었던 주민의제 5가지를 주제로 팀별로 커뮤니티매핑을 진행한 뒤, 해결방안까지 탐색하여 발표하고 토론하는 과정으로 보다 심도있게 진행하였습니다.

마시멜로챌린지로 팀빌딩

참신했던 마시멜로챌린지

커뮤니티매핑의 개념과 사례 배우기

 별로 현장조사

조사한 내용과 탐색한 해결방안 발표하기

발표한 해결방안에 대해 다함께 토론하기



<성덕정길>을 진행하며 알 수 있었던 것은 ‘자기 이야기가 나올 때 진정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곧바로 자신의 이익과 이어지지 않음에도 자신이 살고있는 동네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친구들과 떠드느라 집중을 안 하다가도 동네를 요리조리 뛰어다닐 때 반짝이는 참여자들의 눈빛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을 계기로 성수에서도 보다 많은 주민들이 참여하여 성덕정길이 즐거운 산책할 수 있는 곳으로 변모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동조합 성북신나

Tel.  070-5104-1402   Mail.  info@sinna.us   Addr.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19길 10  

이 홈페이지는 한전KDN과 함께 일하는 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