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마을여행’은 나뭇잎이 푸르게 빛나던 여름부터 예쁘게 물들던 가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협동조합 성북신나는 간간히 정릉 주변을 둘러보러 오시는 분들께 정릉과 정릉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을 소개해드리던 것을 시작으로, 2015년 서울마을여행박람회에도 참여하며 소규모의 마을여행을 진행해왔습니다. 저희와 같이 개별적으로 마을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던 성북 지역의 단체들이 성북마을사회적경제센터를 주축으로 성북마을여행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성북마을여행기획단’이라는 이름으로 모여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성북마을여행 활동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성북마을여행 기획단

2015년 성북마을여행 기획단은 다음과 같은 단체들로 구성되었습니다.

도토리문화학교 : 주민들이 즐겁게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역사문화콘텐츠를 만드는 예비사회적기업

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 협동조합(이하 성아들) : 성북동 역사문화 해설과 자연생태 보존을 위한 체험활동을 하는 마을기업

성북동천 : 마을잡지를 발간하고 마을탐방을 진행하는 성북동 주민과 단체들의 연대모임

아트버스킹 : 함께 더불어 행복한 삶을 위한 문화를 만들어가는 문화기획사

협동조합 성북신나 : 정릉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문화기획 협동조합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 주민들과 함께 공동체적 가치를 되살려 사람이 행복한 마을을 꿈꾸는 중간지원조직


#성북마을여행

각 단체의 중심 활동 지역에 따라 성북동과 정릉동으로 여행 구역을 나누고, 기존에 알고 있던 자원과 운영하고 있던 코스를 서로 연계한 새로운 마을여행 코스를 개발하여 파일럿 형태로 운영하였습니다.

장소

참여 단체

일시

성북동

성아들, 성북동천

2015. 11. 11. (수) 11:00~14:00, 2015. 11. 22 (일) 15:30~19:00

정릉동

도토리문화학교, 협동조합 성북신나

2015. 11. 14 (토) 15:00~19:00, 2015. 11. 18 (수) 11:00~14:00

주최 :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주관 : 성북마을여행기획단

성북마을여행 사무국 : 아트버스킹

 

(1) 성북동 마을여행

– 오디너리북샵 : 수집책을 판매하는 것으로 유명

– 17717 : 문화예술인들의 전시플랫폼

– 김광섭집터 : ‘성북동 비둘기’, ‘저녁에’를 쓴 김광섭이 살았던 곳

– 한옥집터 : 사대부 집안의 전통한옥의 구조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

– 조지훈 집터 : ‘승무’, ‘낙화’를 지은 청록파 시인 조지훈이 살았던 곳

– 수연산방 : ‘달밤’, ‘호동왕자’를 쓴 단편소설의 대가 이태준이 살았던 곳

– 심우장 : ‘님의 침묵’을 지은 승려, 독립운동가, 시인 한용운이 만년을 보낸 곳


김광섭 집터를 둘러보고 있는 성북마을여행 참여자들


여행을 마친 후, 공간 <따로 또 같이>에서 함께한 점심식사


(2) 정릉동 마을여행

– 정릉 : 조선 태조 이성계의 두 번째 부인이자 조선의 첫 번째 왕비인 신덕왕후의 능으로, 세계문화 유산

– 어수정 : 1970년대 초까지 이용하는 사람이 있었던 마을의 공동우물. 건너편 돈암동에서 물을 길러다 먹을 정도로 물맛이 좋았다 한다.

– 북악당 : 맹인들이 독경을 하는 당으로 대한역리 협회에 속해 있다. 미아리고개에 있던 당을 팔아 현재의 자리에 증축

– 쌈지정원 꽃길 : 교수단지 재개발 이야기가 나오면서 주민들이 반대한다는 의미로 문 앞에 작은 꽃 화분을 걸어 놓아 형성된 길

– 보국사 : 마을 내에 있는 사찰로,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기와집

– 성심교회 : 방주 형태를 한 이 교회는 서울에서 가장 작은 교회로, 최대 약 6명 정도 앉을 수 있는 예배당 1칸으로 구성

– 정릉아리랑시장 : 전통시장이자 정릉으로 가는 유일한 입구. 현재에는 규모가 작아졌지만, 마을주민들의 다양한 이야기와 활동이 꾸준한 시장

– 청소년 휴카페 : 정릉도서관 1층에 위치한 청소년 휴카페는 간단한 음료와 편안한 모임공간이 있는, 다양한 세대가 어우르는 마을 아지트

– 공간 신나네 : ‘신나네’는 지역을 신나게 하는 작은 회사 ‘협동조합 성북신나’의 사무실이자 조합원의 공간

아름다운 가을의 정릉

정사모(정릉을사랑하는모임)의 김경숙대표님께 교수단지 활동들을 듣고 있는 정릉마을여행 참여자들

보슬보슬 내리는 비가 운치를 더하는 정릉교수단지 꽃길


성북마을여행 기획단은 마을여행 코스 운영 외에도 다양한 활동을 하였는데요, 코스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북마을여행 연구모임’과 ‘간담회’ 그리고 각 팀 별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성북마을여행 연구모임과 간담회

마포구 젠트리피케이션 사례를 듣고 토론했던 2차 간담회


연구모임은 성북마을사회적경제센터, 성북동천, 아트버스킹, 협동조합 성북신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는데요, 함께 모여 우리가 하고자 하는 마을여행의 정의를 수립하고, 마을여행의 역할/필요성/마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탐색하고자 고민하고 토론하였습니다. 이 내용들을 중심으로 마을여행에 관심이 있는 다른 단체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고, 이후의 성북마을여행 방향을 고민하며 연구모임을 마무리 지었습니다.


#역량강화 프로그램

(1) 성아들의 아껴둔 마을, ‘성북동 한옥’을 알아가는 발돋움 수업

한옥에 대한 지식을 쌓아 문화유산해설사의 경력과 전문성을 보강하고자 하는 교육입니다. 물론 한옥에 관심이 있는 이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었고요, 잊혀가는 한옥에 대한 고찰과 성북동 한옥만의 독창성과 가치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 전체 워크숍, 대전 대흥동 도심여행

공감만세에서 진행하는 대흥동 도심여행 참여하였습니다. 공정여행에 직접 참여하여 마을여행에 접목할 수 있는 장점과 보완해야 할 한계점 등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3) 아트버스킹의 로맨틱로드

 

가이드가 정보를 전달하는 일방적인 마을여행에서 벗어나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마을여행의 시도입니다. 게이미피케이션의 결합으로 프로그램의 경쟁력과 시장성에 대해 가늠해보고자 하였습니다.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 게임이 아닌 분야에 대한 지식 전달, 행동 및 관심 유도 혹은 마케팅 등에 게임의 매커니즘, 사고방식과 같은 게임의 요소를 접목시키는 것

 

마을을 만나고 그 안에서 주민을 만나는 즐거운 동행에 함께할 수 있어서 즐거웠습니다. 무엇보다도 성북마을여행 기획단 속에서 다른 단체들과 함께한 협업의 즐거움은 무척 크고, 중요한 경험이었습니다! 이러한 즐거운 경험들은 마을여행의 가치와 가능성, 그리고 한계점을 정확하게 볼 수 있었던 기회였습니다. 더 나아진 모습의 마을여행, 기대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성북마을여행 활동보고서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성북마을여행 활동보고서는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에서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동조합 성북신나

Tel.  070-5104-1402   Mail.  info@sinna.us   Addr.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19길 10  

이 홈페이지는 한전KDN과 함께 일하는 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